3Q20 영업이익 컨센 11% 하회
3Q20 영업이익은 553억원(QoQ +15%, YoY +44%)으로 컨센(621억원)을 11% 하회했다.
SK넥실리스 4공장 가동률 상승 구간에서의 매출 인식과 일시적인 비용 간의 괴리가 발생하면서 영업이익률이 예상과 달리 아쉬웠던 영향이다.
다만, 화학/Industry소재 모두 전분기 대비 증익되었다.
화학은 위생관련 PG 수요 호조에 따라 OPM 14%로 전분기에 이어 회복세를 이어갔다.
Industry소재의 OPM은 6%로 4~5년 래 최대 이익률을 시현했다.
친환경, Display용 고부가 제품Mix 확대 및 원료가 하락 영향이다.
업황 회복에 따른 Ceramic Parts, CMP Pad 판매량 확대 등 영향으로 반도체 소재 또한 이익률이 개선되었다.
SK넥실리스 영업이익은 152억원(QoQ +16%)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14.7%)은 일시적 요인으로 다소 하락했으나, 월 판매량이 사상 최대치를 갱신하며, 매출액 분기 1천억원을 돌파한 점이 인상적이다.
4Q20 영업이익 소폭 증익 전망. SK넥실리스 이익 확대
4Q20 영업이익은 592억원(QoQ +7%, YoY +185%)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SK넥실리스는 전분기에 발생한 일시적 영업이익률 훼손 요인이 제거되면서 매출액/영업이익이 동반하여 증가할 것이다.
영업이익 202억원(QoQ +33%)을 전망한다.
화학 영업이익은 275억원(QoQ +9%)를 전망한다.
PO 급등과 PG 공급부족에 따른 영향으로 이익률이 개선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10/22~11/25일까지 정기보수가 예정되어 있어 물량 감소효과가 발생하는 점은 다소 아쉽다.
Industry 소재는 언택트 관련 디스플레이 수요 호조로 견조한 실적이 지속될 전망이다.
반도체 소재는 해외신규고객 확보, CMP 신규 물량 확대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2021년, 사업구조 혁신이 펀더먼털로 승화된다
2021년 영업이익은 약 50% 증가하며 펀더먼털은 더욱 좋아질 것이다.
2021년 화학사업의 호조를 바탕으로 넥실리스의 매출액/영업이익 확대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2022년에는 총 1.8만톤의 동박 증설이 집중되어 Capa는 현재 대비 약 60%가 늘어난다.
SKC코오롱PI/바이오랜드/석유화학 지분 매각, 동박사업 인수 등 사업포트폴리의 혁신이 펀더먼털로 승화되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http://vip.mk.co.kr/newSt/news/news_view2.php?p_page=&sCode=13&t_uid=5&c_uid=117290&search=
vip.mk.co.kr
'시사·사회이슈 > _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텍(222800) MSAP 기판 위주 체질 개선 성공 (0) | 2020.11.06 |
---|---|
[클릭 e종목]"아이엘사이언스, 탈모용 의료기기 성장 기대" (0) | 2020.11.06 |
패배 직감했나…트럼프 "이제 와서 소송이 무슨 소용" (0) | 2020.11.05 |
[SEN]SK證 “씨에스윈드, 글로벌 친환경 수요 증가…고성장 기대” (0) | 2020.11.05 |
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시밀러 분야 `올해의 선도기업`으로 꼽혀 (0) | 2020.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