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보구, 근린분구, 근린주구, 근린지구
인보구 | 근린분구 | 근린주구 | |
반경 | 100m 전후 | 150~200 전후 | 300~400m 전후 |
인구 | 200~800명 정도 | 3000~5000명 정도 | 10000~20000명 정도 |
중심기본시설 | 유아놀이터, 구멍가게 | 유치원, 아동공원, 파출소 | 초등학교, 유치원, 놀이터 |
상호관계 | 근린생활권의 최소단위 | 4~6개의 인보구 주민간의 면식이 가능한 최소단위 |
4~5개의 근린분구 보행으로 중심부와 연결 가능범위 도시계획 종합계획에 따른 최소단위 |
특징 | 가까운 친분관계를 유지하는 공간적 범위 | 간선도로, 녹지등에 의해 다른지역 구별 |
** 근린주구 (neighborhood unit)
C.A.Perry(1929)가 초등학교 학구를 기준단위로 설정하여, 주구내의 생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편리성과 쾌적성을 확보
** 근린주구 구성의 여섯가지 원리
1. 규모 : 하나의 초등학교가 필요하게 되는 인구에 대응하는 규모 (반경 400m, 인구 5,000인정도)
2. 경계 :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네면 모두가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
3. 오픈스페이스 : 계획된 소공원과 위락공원 체계
4. 공공 건축물 : 근린주구 중심에 위치
5. 근린점포
6. 지구내 가로체계 : 외관 간선도로, 내부 가로망
반응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하자보수 기간 (0) | 2023.10.18 |
---|---|
[건설 지식] 현장에서 일어나는 건설 인허가의 모든 것 (0) | 2022.11.11 |
토목 톤단위 환산 (0) | 2022.02.11 |
창호 도어 약어, 용어 (AW, PW 등..) (0) | 2022.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