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건축

인보구, 근린분구, 근린주구, 근린지구

by DDoogddAK 2020. 10. 9.
반응형

인보구, 근린분구, 근린주구, 근린지구

 

  인보구 근린분구 근린주구
반경 100m 전후 150~200 전후 300~400m 전후
인구 200~800명 정도 3000~5000명 정도 10000~20000명 정도
중심기본시설 유아놀이터, 구멍가게 유치원, 아동공원, 파출소 초등학교, 유치원, 놀이터
상호관계 근린생활권의 최소단위 4~6개의 인보구
주민간의 면식이 가능한 최소단위
4~5개의 근린분구
보행으로 중심부와 연결 가능범위
도시계획 종합계획에 따른 최소단위
특징 가까운 친분관계를 유지하는 공간적 범위   간선도로, 녹지등에 의해 다른지역 구별

 

** 근린주구 (neighborhood unit)

C.A.Perry(1929)가 초등학교 학구를 기준단위로 설정하여, 주구내의 생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편리성과 쾌적성을 확보

 

** 근린주구 구성의 여섯가지 원리

1. 규모 : 하나의 초등학교가 필요하게 되는 인구에 대응하는 규모 (반경 400m, 인구 5,000인정도)

2. 경계 :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네면 모두가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

3. 오픈스페이스 : 계획된 소공원과 위락공원 체계

4. 공공 건축물 : 근린주구 중심에 위치

5. 근린점포

6. 지구내 가로체계 : 외관 간선도로, 내부 가로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