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STOCK

일목균형표란?

by DDoogddAK 2021. 4. 29.
반응형

일목균형표(IKH)란?

사진출처: https://www.fxbroadnet.com/tech/technicalchart/tech03.jsp

일목균형표(一目均衡表, IKH; Ichimoku Kinko Hyo)란 일본에서 개발된 지표로 주가의 움직임을 5개의 의미 있는 선을 이용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으로 시간 개념이 포함된 지표를 말합니다.

영어로는 Ichimoku Kinko Hyo, 줄여서 IKH라고 하거나 짧게 Ichimoku라고 해서 Ichimoku analysis, Ichimoku trading system 등으로 사용됩니다.

일목산인(一目山人)이라는 필명을 가진 일본의 주가차트 전문가 호소다 고이치씨가 독자 개발한 일목균형표는 서양의 엘리어트 파동 등이 과거의 가격과 트렌드를 중시하는 데 비해 시간을 주체로 하고 가격은 2차적인 개념에 불과하다는 데 기초를 둔 분석모형입니다.

위키피디아의 일목균형표 설명

 

일목균형표는 1935년 일목산인(一目山人)이 미야코신문사재직중 증권시황란 작성을 위해 개발 한 후, 신동전환선(新東轉煥線)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하면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7권에 해당하는 일목균형표이지만 현재에는 4권만이 발간되어 있습니다.

봉차트분석법, 사께다5법, 패턴분석, 엘리어트파동론, 이동평균선, 피보나치, MA오실레이터, ROC개념 등이 포괄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복합추세예측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진출처: Unsplash

종가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이동평균선과는 다르게 특정기간의 고가와 저가의 평균값을 내어 지표가 작성됩니다.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보조지표가 후행성이거나 동행성을 보이지만, 일목균형표는 선행성까지 갖고 있어서 미래를 예측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일목균형표의 구성

사진출처: https://www.sevendata.co.jp/shihyou/jukyuu/ichimoku.html

전환선(転換線)

(과거 9일간의 최고가+과거 9일간의 최저가)/2

기준선(基準線)

(과거 26일간의 최고가+과거 26일간의 최저가)/2

후행스팬(遅行線, 遅行スパン)

금일 종가를 26일 전에 기입

선행스팬1(先行スパン1)

(금일 전환선값+금일 기준선값)/2, 이 수치를 26일 후에 기입

선행스팬2(先行スパン2)

(과거 52일간의 최고가+과거 52일간의 최저가)/2, 이 수치를 26일 후에 기입

구름대(抵抗帯(雲))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 사이를 칠하면 띠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것을 구름대라고 합니다.

일목균형표의 활용법

아래 글은 아래 링크의 일본 자료를 번역하였습니다.

https://www.fxbroadnet.com/tech/technicalchart/tech03.jsp

 

一目均衡表|テクニカルチャート講座|FXブロードネット

一目均衡表 は、一目山人(細田吾一)氏が作成した純国産のテクニカル分析です。 一目均衡表 は波動・時間・水準を総合的に取り入れたチャートであり、相場のバランスをビジュアルに表現したものです。 時間分析を主体として波動分析に及ぶ非常に奥の深いテクニカル分析ですが、ここではチャート的な分析について説明します。 一目均衡表 はローソク足とともに5本の線を描くことによって作られます。 一目均衡表 を構成する5本の線は以下の計算式によって算出されます。 基準線(赤線)=(26日間の最高値+26日間の最安値)÷2 転換線(黄色)=(9日間の最高値+9日間の最安値)÷2 先行スパン1(グレー線)=(基準線+...

www.fxbroadnet.com

출처: www.fxbroadnet.com

기준선과 전환선의 교차

일목균형표에서 전환선과 기준선은 각각 단기와 장기의 이동평균선 역할을 합니다.

이용 방법도 마찬가지로, 전환선이 기준선을 위에서 아래로 빠지면 팔고,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빠지면 매입 시그널이 됩니다.

선행스팬 이용

두 가닥의 선행 스팬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구름대라고 합니다.

구름대는 저항대로 인식되며, 두께가 있을수록 강한 저항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시세보다 위에 구름대가 있는 경우는 상한가 저항이 있는 하락 시세, 시세보다 아래에 구름대가 있는 경우를 하한가 지지가 있는 상승 시세라고 생각합니다.

또 구름대가 꼬여 크로스한 곳을 '선행스판 변화일'이라고 부르며 시세 전환의 기준이 된다고 알려져 있어 시세가 변화일 부근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후행스팬 이용

후행스판은 당일 종가를 26일 역행시켰을 뿐인 단순한 것이지만, 일단 산사람은 가장 중요한 선이라고 하며, 시세의 큰 전환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습니다.

후행 스판이 26일 전의 시세를 상회했을 때를 상승 전환, 하회했을 때를 하강 전환이라고 생각합니다.

삼역 호전(三役好転)

위에서 설명한 1. 기준선과 전환선, 2. 현재의 시세와 구름대, 3. 후행스팬과 26일전의 시세 등 3 가지 관계가 전환선>기준선, 현재의 시세>구름대, 후행스팬>26일전의 시세가 되고 있는 경우를 "삼역호전"이라 하여 시세는 강세가 되었다고 판단합니다.

또한 모든 것이 반대로 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약세를 확인하는 시그널이 됩니다.

참고출처: 일본 주식의 달인(sevendata.co.jp), 일본 FX브로드넷(fxbroadnet.com), 나무위키, 매일경제. Wikipedia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