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STOCK

좋은종목 선택기준 ROA

by DDoogddAK 2020. 10. 7.
반응형

총자산순이익률

ROA ( Return On Assets )

 

기업의 총 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가늠하는 지표입니다.

 

총자산이익율(ROA) = 순수익 / 총자산 * 100

 

기업의 일정기간 순수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특정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가를 나타냅니다.

 

한마디로 기업이 사업을 하여 이익을 내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익창출의 지표라고하시면 이해가 쉽게 되실껍니다.

 

간단한 TIP

ROA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ROA의 기본

한정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최대의 이익을 내도록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출 대비 수익을 비교하는 것도 운영 측면에서 좋은 지표이지만

매출이나 수익을 회사가 보유한 자산과 비교하는 ROA를 통해 회사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한 TIP

ROA는 지속성이 중요합니다.

 

ROA는 산업 특성에 따른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성장 단계와 제조업 및 서비스업 등 섹터별 부가가치 수준에 따라 ROA는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EPS, PER 같은 보조지표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동종업계나 경쟁사와 비교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좋은 종목을 찾기 위해 보조지표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크로스 체크하면서 신중하게 기업의 가치를 공부하다보면 자신만의 기준지표를 설정하는 기준이 생길 것입니다.

 

지표의 기준이 생긴다면 귀가 얇더라도 기준이하의 종목은 매수하지 않을것 입니다.

 

간단한 TIP

일반적인 보조지표의 기준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 여기저기 공유되는 )

PER 30이하, PBR 5이하, ROE 10이상, 부채비율 200%이하, 유보율 550%이상

 

개개인의 투자성향과 자산을 운영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공유되고 있는 기준지표를 일괄 적용하기 보다 적용하고, 테스트하고, 응용하고, 접목하면서 성향에 맞는 기준지표를 만들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에서 무조건 정답이란 없습니다.

 

반응형

'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주식 성장 방향성 제시  (0) 2020.10.10
투자심리도 필터기법 : 매수매도 시장변화  (0) 2020.10.08
골든크로스  (0) 2020.10.06
주식투자비중 공식 - 켈리 방정식  (0) 2020.10.06
좋은종목 선택기준 PER  (0) 2020.10.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