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시사·사회이슈/_2020

CJ제일제당(097950) 중국 사료 수요 강세의 수혜주

by DDoogddAK 2020. 11. 4.
반응형

중국 사료 생산량 급증, 사료용 아미노산 수요 강세 전망

중국 사료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이후 급감했던 중국 돼지사육두수의 회복세가 빨라지면서, 중국 전체 사료 생산량은 올해 7월 이후 YoY +10% 이상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2018년까지 중국 사료 생산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양돈사료를 중심으로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다(생산비중: 18년 44%, 19년 33%). 중국 양돈 사료 생산량은 2020년 7월부터 YoY +30% 이상의 고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7월 +37%, 8월 +46%, 9월 +54%), 올해 9월 양돈사료 생산량은 2018년도 월평균 생산량에 근접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배합사료에 첨가되는 사료용 아미노산의 수요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잔망되며, 이는 CJ제일제당바이오 사업부의 실적 방향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4Q20부터 사료용 아미노산 호황 Cycle 진입 전망

이와 같은 중국 돼지사육두수 회복 및 사료 생산량 급증에 따라, 4Q20부터 사료용 아미노산의 호황 Cycle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양돈사료에 필수 아미노산으로 사용되는 라이신, 트레오닌, 트립토판의 수요 강세가 예상된다.

상위 3개 사료용 아미노산의 올해 중국 스팟 가격은 연초 대비 강세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국경절 연휴 이후 비수기 구간에도 가격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통상 중국 사료 회사들이 춘절 전에 사료용 아미노산 재고 축적에 나서는 점을 감안한다면, 올해 11~12월부터 라이신/트레오닌/트립토판을중심으로 사료용 아미노산의 가격 상승세가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4Q20~1Q21는 중국 돼지사육두수 회복에 따른 구조적 수요 강세와 계절적 수요 강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사료용 아미노산 가격 상승세가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중국發 수요 강세는 유럽과 동남아시아 시장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통상 중국 업체들이 내수 시장 중심의 판매처를 다변화하기 위해 유럽과 동남아시아 등을 중심으로 주요 사료용 아미노산 제품을 꾸준히 수출해왔기 때문이다.

 

 

 

http://vip.mk.co.kr/newSt/news/news_view2.php?p_page=&sCode=13&t_uid=5&c_uid=117269&search=

 

vip.mk.c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