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STOCK

좋은종목 선택기준 PER

by DDoogddAK 2020. 10. 6.
반응형

주가이익비율 PER (Price Earning Ratio)

Price = 가격 (주가), Earning = 수익, Ratio = 비율

 

주가수익비율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로 나눈 수치로 계산되며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배가 되는가를 나타냅니다.

 

예를들어 A기업의 주가가 6만6000원이고, EPS가 1만2000원이라면 A사의 PER은 5.5가 됩니다.

 

PER이 높다는 것은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PER이 낮다는 것은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PER이 낮은 주식은 앞으로 주식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또 한가지 예를 들면

삼성전자는 PER 18.70 기준으로 보면 삼성전자의 시세는 주당순이익(EPS)보다 18.7배 비싸다는 뜻입니다.

 

종목별 12M PER이란 앞으로 12개월동안 올릴 주당순이익의 예상치로 현재 주가와 비교해서 장차 예상되는 PER값을 계산한 것입니다.

 

간단한 TIP

예상 PER을 계산하는 이유는 주가나 기업실적(순이익)이 변하면 PER 값도 같이 변동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PER을 체크함에 있어서 기업의 PER 외에 업종 PER 비교는 필수입니다.

 

업종 PER은 업종이 같은 종목을 묶어 시세와 수익능력을 비교해주는 지표이므로 같은 업종을 대상으로 시세가 수익 능력보다 얼마나 비싼지 계산해서 표시합니다.

 

단순하게 삼성전자의 PER은 18.70, 업계 PER은 23.11.

PER이 높아 비싸다고 생각을 할 수 있었던 삼성전자가 업계 PER을 비교해보니 오히려 저평가 되어 있는 상황

 

조금 더 세밀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지표순위를 확인하면 된다.

 

PER을 낮은순으로 정렬하면 PER이 계산되지 않은 종목들을 배제하고 현재 기준으로는 현대에너지 솔루션의 PER 6.14로 가장 낮으며 삼성전자는 40번째에 있다.

 

모든 종목의 가치를 판단함에 있어 한가지 지표로 평가하는 것은 매우 무의미 합니다.

 

때문에 지표순위에 나오는 다른 지표들

부채지표, 유보율, 매출증가율, ROA, ROE, EPS, PER 등을 같이 함께 보며 판단을 하셔야 합니다.

 

간단한 TIP

PER 지표의 유의점

순이익이 정체하고 주가가 내려가면 PER 값도 내려갑니다.

 

기업가치나 전망이 괜찮은데 제값을 못받는게 아니라 실제 성장 전망이 흐려져 주가가 내려가도 PER 저평가 종목이 될 수 있다는 것!

 

결국 PER 값만 보고 종목을 고를 때 낮은 PER 종목을 찾더라도 왜 PER이 낮은지 이유를 찾아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선택의 기준 PER을 활용할 때는 PER이 낮을 수록 좋지만, 낮은 이유를 꼭 체크해야만 좋은 종목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주식 성장 방향성 제시  (0) 2020.10.10
투자심리도 필터기법 : 매수매도 시장변화  (0) 2020.10.08
좋은종목 선택기준 ROA  (0) 2020.10.07
골든크로스  (0) 2020.10.06
주식투자비중 공식 - 켈리 방정식  (0) 2020.10.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