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index"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LG화학, 새해에 강화되는 2차전지 모멘텀…목표가↑-NH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NH투자증권은 8일 LG화학(051910)이 전지부문 물적분할로 인해 다양한 방식의 자금 유치가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85만원에서 110만원으로 29.4% 상향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IPO) 혹은 전략적투자자(SI) 유치 가시화 시 사업 성장 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 목표주가의 추가 상향도 가능할 전망이다. LG화학의 현재 주가는 지난 7일 종가 기준 81만 6000원이다. ​ 황유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LG화학은 2021년 EV 시장 본격 확대로 2차 전지 사업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95% 증가할 전망”이라며 “석유화학 사업은 ‘코로나19’ 특수 약화로 상고하저 흐름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 LG화학은 지난 1.. 2020. 12. 10.
아이스크림에듀, AI 기반 교육 서비스 관련 특허 3건 취득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독보적 초중등 스마트홈러닝 ‘AI홈런’을 서비스하는 아이스크림에듀가 AI 기술을 활용한 교육 서비스 관련 특허 3건을 취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 ‘문제은행 및 지식맵 기반 맞춤형 학습 방법 및 시스템’ 특허는 국내 및 해외의 교육과정을 다국어로 표현하여 인공지능이 탐색할 수 있는 지식체계를 구축하는 기술과 문제은행에서 학습자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이 적합한 문제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전통적인 학력측정 방식을 대체하는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 평가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으며 홈런 AI수학을 통해 곧 선보이게 될 예정이다. ​ ‘소셜 러닝 및 e포트폴리오 기반 맞춤형 학습 방법 및 시스템’ 특허는 학습자가 과목별로 도달하고 싶은 학습의 수준과 목표를 설정하고 공.. 2020. 12. 10.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초읽기 ‘특수’ 누릴 CMO 업체는? 셀트리온만으론 대량생산 한계…삼성바이오로직스·바이넥스 등 파트너로 거론 ​ [일요신문] 지난 11월 25일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성분명 레그단비맙)’의 글로벌 2상 임상시험에 참여할 환자 327명을 모집해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임상 2상의 중간 결과를 확인한 후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조건부 허가 승인을 염두에 두고 약 10만 명이 치료받을 수 있는 분량의 CT-P59를 이미 생산한 상태다. 또 해외 대량 공급을 위해 연간 최대 200만 명분의 치료제 생산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난 11월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의 글로벌 2상 임상시험에 참여할 환자 327명을 모집해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혔.. 2020. 12. 10.
"1월엔 코스닥 헬스케어 시총 상위株 유리할 것"-IBK IBK투자증권 분석 금융위기 이후 실질 배당수익률, '+'…"배당락 전 팔지 않아야" 연초엔 1월효과 코스닥이 더 강해…헬스케어 업종 고무적 ​ [이데일리 고준혁 기자] 금융위기 후 국내 증시에서 연말 배당수익률과 배당락일 시초가 하락률의 차이를 나타내는 실질 배당수익률은 평균적으로 플러스(+)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초엔 ‘1월 효과(January Effect)’로 우상향하는 계절성이 있는데, 이때 코스닥의 수익률이 코스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말엔 배당주, 연초엔 코스닥 중소형주에 대한 비중 확대가 추천된다. 이정빈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배당락일은 12월 29일로 12월 결산법인의 배당 등 주주 권리 확보를 위해서 12월 28일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한다”며 “코스피와 코스닥.. 2020. 12. 8.
애플, 2022년 아이폰 폴디드줌 적용 가능성...LG이노텍·삼성전기 역할은 LG이노텍이 '삼성전기 부품' 사용한 폴디드줌 모듈 납품 가능성 관련 특허 삼성에 많아 삼성전자-애플 고위층 협상 거쳐야 가능 ​ 삼성전기의 잠망경 형태 광학줌(폴디드줌) 구조 애플이 이르면 2022년 아이폰에 잠망경 형태 망원 카메라 모듈인 '폴디드줌' 적용을 검토하는 가운데, LG이노텍이 삼성전기에서 액추에이터 등 부품을 공급 받는 방안이 유력한 절충안으로 떠올랐다. 애플이 기존 주력 카메라 모듈 협력사인 LG이노텍 지위를 유지하면서 삼성 측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다. ​ 7일 복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애플이 이르면 2022년 아이폰에 적용할 예정인 폴디드줌 카메라 모듈에서 삼성전기가 액추에이터 또는 렌즈 등의 부품을, LG이노텍이 폴디드줌을 애플에 납품하는 방안이 유력.. 2020. 12. 8.
이오플로우, 제2형 당뇨인 대상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임상 돌입 회사 측 “당뇨 치료 시장의 패러다임을 선도할 것” ​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이오플로우(294090)는 인슐린 의존형 제2형 당뇨인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다기관 임상시험에 돌입한다고 8일 밝혔다. ​ 이오플로우는 ‘2020년도 제3차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 중 의료기기 임상시험 지원 사업에 선정되며 제2형 당뇨인들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제품명 이오패치; EOPatch)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는 다기관 임상시험에 나설 방침이다. ​ 이번 다기관 임상시험은 인슐린 다회요법/다회 혼합형 인슐린요법으로도 혈당 조절이 원활치 않은 제2형 당뇨인 130명을 대상으로 한다. 회사는 연속혈당측정기를 병용한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의 효용성을 일반형 인슐린 펌프 및 인슐린 다회.. 2020. 12. 8.
레고켐바이오, 국내·외 기술이전 10건…총 2조 규모 베링거 계약 파기에도 승승장구…내후년 日 기술수출도 기대 ​ [팍스넷뉴스 김새미 기자]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레고켐바이오)가 올해만 4번의 기술수출 계약을 성사시켰다. 현재까지 이룬 국내외 기술이전 건수는 10건에 이르며, 총 계약 금액은 2조원을 넘는다. ​ 3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레고켐바이오는 지난 2일 미국 바이오기업 픽시스에 ADC 항암제를 3255억원에 기술수출했다. ​ 앞서 레고켐바이오는 영국 익수다 테라퓨틱스에 지난 4월 차세대 ADC 플랫폼 기술을 4963억원에 이전한 데 이어 5월에는 ADC 항암신약 후보물질을 2784억원에 넘겼다. 지난 10월에는 중국 제약사 시스톤 파마수티컬스에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 개발한 ADC 항암제 후보물질의 개발 및 전 세계 판권(한국 제외)을 4099억원 규.. 2020. 12. 8.
코오롱생명과학, 티슈진 상폐 결론 연기에 하락세 코오롱생명과학이 자회사 코오롱티슈진의 상장폐지 연기 소식에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42분 코오롱생명과학은 전날보다 1650원(5.34%) 내린 2만9250원에 거래됐다. ​ 앞서 거래소는 전날 코오롱티슈진 상폐 여부에 논의했지만 심의를 종결하지 못해 추후 심의를 속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코오롱티슈진은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의 성분이 원래 알려진 연골세포가 아닌 신장세포로 밝혀지면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으로 선정됐다. 코오롱티슈진이 상장 심사 당시 이 같은 중요사항을 허위 기재하거나 누락했다는 거래소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 코오롱 티슈진은 인보사 파문과 별개로 지난 3월 16일 2019 사업연도 외부감사인 의견거절, 지난 8월 28일 2020 사업연.. 2020. 12. 8.
이오플로우, 제2형 당뇨 대상 웨어러블 인슐린펌프 임상 돌입 의료기기 임상시험 지원 사업 최종 선정 이오플로우(63,500 +13.39%)는 국내 최초로 인슐린 의존형 제2형 당뇨인을 대상으로 착용형(웨어러블) 인슐린 펌프(제품명 이오패치)의 다기관 임상시험에 돌입한다고 8일 밝혔다. ​ '2020년도 제3차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 중 의료기기 임상시험 지원 사업에 선정돼 이번 임상에 나선다. ​ 이번 임상은 인슐린 다회요법·다회 혼합형 인슐린요법으로도 혈당 조절이 원활치 않은 제2형 당뇨인 130명을 대상으로 한다. 회사는 연속혈당측정기를 병용한 이오패치의 효용성을 일반형 인슐린 펌프 및 인슐린 다회요법·다회 혼합형 인슐린요법과 비교 검증한다. ​ 지원 사업 선정으로 이오플로우는 임상 사업비 약 11억원 중, 최대 10억원을 정부로부터 2022년까.. 2020.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