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시사·사회이슈

인터플렉스(051370) 2021년 다시 뛰자~

by DDoogddAK 2020. 12. 1.
반응형

투자의견 ‘매수(BUY)’ 상향, 목표주가 22,000원 상향

- 인터플렉스의 2021년 흑자전환(영업이익, 순이익) 등 매출과 영업이익은 턴어라운드 예상, 다시 고성장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에서 매수(BUY)로 상향, 목표주가는 22,000원(2021년 주당순이익에 목표 P/E 24.6배(P/B 2.3배) 적용, 과거 실적 회복 첫 시기의 평균밴드 구간)으로 상향

- 2021년 전체 매출은 51.6%(yoy), 영업이익 211억원으로 3년만에 흑자전환을 추정, 2021년 1분기 기점으로 본격적인 실적 개선에 진입 전망. 연성PCB(디지타이저 )의 적용 모델 확대, 2021년 거래선의 추가 확대 가능성이 높아진 시점으로 판단. 2021년 투자 포인트는

2021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0%(yoy), 흑자전환(yoy, 3년만) 추정

- 첫째,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에 적용되었던 펜 기능이 2021년 갤럭시S21(울트라) 및 갤럭시Z폴드3(폴더블폰)에 확대될 전망. 갤럭시노트 모델의 중단 및 판매 축소 가능성을 감안하더라도 갤럭시S시리즈의 절대 판매량이 높으며(갤럭시노트대비), 더 큰 화면을 적용한 폴더블폰(갤럭시Z폴드 시리즈)을 포함하면 인터플렉스 디지타이저(연성PCB)의 수량(Q)과 가격(P)이 2021년 동시에 증가 예상. 과거 3분기에 집중되었던 매출(디지터이저)이 분기별로 분산되면서 고정비 부담(분기 평균 가동률 상승) 완화로 2021년 1분기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전망. 펜 기능은 삼성전자의 차별화 전략, 다양한 폴더블폰 및 폴더블 기기에 적용이 확대, 주력 공급업체인 인터플렉스 디지타이저의 평균공급가격(ASP)은 상승할 것으로 추정. 2021년 이후의 매출과 이익 증가에 기여 예상

- 둘째, 2021년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에 디스플레이향 R/F PCB을 공급 가능성을 예상. 국내 공급업체가 R/F PCB 사업을 중단할 경우에 인터플렉스가 공급 위치를 넘겨받아서 2021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에 반영될 것으로 기대. 현재 R/F PCB 산업은 추가적인 생산능력 확대를 지양, 인터플렉스의 낮은 가동률 상황을 감안하면 경쟁업체 대비 새로운 공급업체 대안으로 판단. 만약 2021년 하반기에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에 R/F PCB를 공급하면 2022년 다른 IT기기향 R/F PCB 공급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 2021년 매출(5,074억원)과 영업이익(211억원)은 각각 51.6%(yoy), 흑자전환(yoy) 추정. 2022년 매출(6,120억원)도 20.6%(yoy) 증가 등 디지타이저(연성PCB) 적용 확대 및 ASP(가격) 상승, 거래선 추가 등 2년 연속 고성장 구간에 진입. 2017년 매출(8,055억원) 이후 역성장 및 둔화 구간에 있었으나 2021년 다시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

 

 

 

인터플렉스(051370) 2021년 다시 뛰자~ - 매일경제 증권센터

투자의견 ‘매수(BUY)’ 상향, 목표주가 22,000원 상향 - 인터플렉스의 2021년 흑자전환(영업이익, 순이익) 등 매출과 영업이익은 턴어라운드 예상, 다시 고성장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 투자의

vip.mk.co.kr

 

반응형

댓글